피그마 기반
리포트 자동화 시스템

반복 작업을 개선하고 자동화한 사례

프로젝트 기간

  1. 04

약 2주

참여 범위 (기여도)

기획 및 시스템 구축 80%

플러그인 적용 가이드 설계

팀 프로젝트

디자이너 1명 (본인) 참여

피플 사이언티스트 1명

총 2명

작업 툴

Figma (Plugin)

Notion

프로젝트 배경

IN8 Domain의
강점 보고서 제작

초기 인에이트 서비스는 ‘채용'을 중심으로 한 솔루션이었습니다. 이 후, 조직과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HRD 솔루션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며 'IN8 Domain' 이라는 구성원 강점 진단 솔루션을 출시했습니다.
이 솔루션은 조직 구성원에게 각자의 강점 보고서를 제공하고, 오프라인 팀 워크샵으로 팀 활성화를 도와주는
솔루션입니다.

대부분 수작업으로
처리되는 업무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 하고 가설 검증을 빠르게 하고자 솔루션의 강점 보고서는 웹 개발을 진행하지 않기로
선택
하였습니다. 그래서 데이터에 디자인을 바로 적용하여 제작한 보고서 형식으로 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제작되는 보고서의 수가 많아질수록 업무 부담이 늘어났습니다.

솔루션에 필요한 업무

세일즈, 고객 관리

진단 세트 제작 및 관리

데이터 분석 및 관리

리포트 제작 및 관리

워크샵 기획 및 진행

그 외 다수..

데이터 분석과 강점 보고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A기업 게임 진단 참여자 20인 기준

20인 구성원의 강점 보고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시간

약 3.6일

문제 정의에 대한 근거

제작에
필요한 긴 시간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엑셀과 노션으로 전달받으면 모든 참여자의 데이터를 직접 Figma에 적용하여 만드는
프로세스였습니다. 공통적인 부분은 메인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시간을 줄일 수 있었지만, 사용자의 정보와 강점
데이터는 모두 다르기에 일일이 입력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강점 보고서 Figma 제작 프로세스

기업 별 피그마 파일 제작

참여자 1인 = Figma Page 1

컴포넌트 및 템플릿 적용

개별 영역 데이터 입력, 그래프 작업

PDF 추출 및 데이터, 디자인 QA

인쇄 및 파일 전송

가설 설정

보고서 제작 시간 단축

분석된 결과 데이터가 1)디자인 템플릿에 자동으로 적용되고 2)그래프를 그려주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리고 3)팀원들이 학습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4)보고서의 레이아웃과 내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야 하는 조건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Figma가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웹개발을
진행하지 않는
상황

개발 이슈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환경

MVP 이슈

팀원 모두가
사용 가능한
도구

내부 이슈

보고서를 제작하는 도구를 변경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찾아서 학습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판단

피그마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선택

해결 방법

Google sheets Sync

여러 아티클을 보고 리서치를 하던 중, 구글 시트 싱크로 실제 데이터를 피그마 디자인에 얹는 케이스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관련 정보를 검토하고 여러 차례의 테스트를 거치며,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대신 플러그인을 적용시키기 위해선 시트 레이블과 피그마 레이어에 동일한 규칙을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가
필요했습니다.

Google sheets Sync

동일한 규칙을 적용한
레이블과 레이어

레이블과 레이어의 규칙은 내부 팀원이라면 누구나 이 자료를 보고 예측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하였습니다.

레이블과 레이어 네이밍 규칙

스프레드 시트 레이블 (예시)

레이블 규칙과 그래프 규칙을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추출하면 위의 시트가 만들어지고, 플러그인에 적용하면 사용자의 점수 데이터에
맞춰 그래프가 자동으로 그려짐.

피그마 레이어 (예시)

플러그인 적용이 필요한 레이어는 #을 꼭 표시

가이드 배포

내부 구성원 모두 열람 가능한 곳에 가이드 문서를 작성하고, 피그마를 사용하여 라이브러리 파일을 독립적으로
관리하였습니다. 또한, 공통 요소들을 주요 컴포넌트로 구분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플러그인 사용법과 자동화 가능한 부분을 명시하고 규칙을 작성한 가이드

결과

내부 프로세스를
완전히 단축시킨 시스템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내부 프로세스가 단축 되었다는 것을 확실히 느꼈습니다. 처음 테스트를 할 때만 해도
그려지는 레이어와 규칙이 많아 걱정이 많았지만, 규칙을 적용한 시트를 연결하니 1-2초만에 레이어와 디자인에 데이터가 바로 적용되었습니다.

시스템이 적용된 스프레드 시트 연동 시, 자동 생성되는 그래프

데이터 분석과 강점 보고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시스템 도입 후 단축된 제작 시간

01

30분에서 1분으로 줄어든 제작 시간

데이터를 찾고 적용하는 시간을 확실히 절약했기에 반복적이고 힘들었던 업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02

결과 분석에만 집중하게된 동료

시스템 도입 후,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시트 추출이 가능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데 좀 더 초점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03

다음날에 도착하는 강점 보고서

고객사의 참가자 수에 따라 진단이 완료된 이후, 다음날에도 전달 가능할 정도로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이전에 길게는 일주일이나 걸렸던 결과가
이제 다음날이면 사용자들에게 도착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리뷰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팀 멤버들의 업무시간을 확보한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고객들에게 보고서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었으며, 이 시스템을 토대로 조직 진단 보고서 개발도 수월하게 진행했습니다.
기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 주도적으로 진행한 프로젝트로 팀원들도 모두 만족하고
고객에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도 단축한 성공적인 프로젝트였습니다.

피그마 기반
리포트 자동화 시스템

반복 작업을 개선하고 자동화한 사례

포트폴리오 사이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려요.

버튼을 클릭하면 메일 주소가 복사됩니다!

대화를 나누고 싶다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 Hyemi Yun